낯설고 생소하기만 했던 디지털 인문학 연구는 최근 크게 성장했고 디지털 인문학 교육도 이에 맞춰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여전히 교육현장에서는 고민이 많습니다. 인문학과 공학의 융합은 왜 필요한지, 그 융합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이를 위해서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질문은 많지만, 답은 구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몇 명의 연구자가 팀을 이루어 디지털 인문학 교육에 관한 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국 연구재단 공동연구 “네트워크형 디지털 인문학 교육모델 개발” 팀은 개별 대학에서 진행하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한계와 장벽을 넘어, 디지털 인문학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각 대학에서 필요한 개별 디지털 인문학 수업을, 개발 단계에서부터 인문학과 공학 전문가들이 모여서 연구하고,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방법과 구동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상의하며 향후 개설될 수업을 참여대학과 공유하는 노력을 합니다.
이번의 워크샵은 위와 같은 공유와 연대를 지향하는 첫걸음으로, 국내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전문가의 경험을 청하여 듣는 자리입니다. 현장에서 몸으로 겪는 다양한 이슈와 문제부터 디지털 인문학 교육을 어떻게 개별 연구와 연결할 수 있을까 하는 구체적인 질문까지 포괄할 것입니다. 이 행사는 2022년 말에 개소한 UNIST 디지털 인문학 센터와 함께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시간 | 행사 | 담당 | 제목 |
---|---|---|---|
1200 - 1300 | 사전행사 | ||
사회 | 이인경 (UNIST 인문학부) | ||
개회사 | **이재연 (UNIST 인문학부, | ||
디지털 인문학 센터장)** | |||
축사 | **김성엽 (UNIST 공학대학 학장), | ||
최진숙 (UNIST 인문학부 학부장)** | |||
기조연설 | 전길남 (KAIST 명예교수) | Digital Transformation | |
휴식시간 | |||
1:00~3:30 | 1부 | 인문학에서 시작하는 디지털 인문학 교육 | |
사회 | 이승은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
1:00~1:45 | 발표1 | 김바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발전을 위한 고민 |
토론 | 이재연 (UNIST 인문학부) | ||
1:45~2:30 | 발표2 | 박진호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 두보 시와 한국 근현대 소설에 대한 텍스트마이닝 시론 |
토론 | 김정연 (UNIST 인문학부) | ||
2:30~3:15 | 발표3 | **조원희 (한국학중앙연구원 글로벌 한국학부)** | [**텍스트에서 네트워크로 (그리고 다시 텍스트로?): |
13세기 몽원 제국의 조정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https://network-education-model.notion.site/501b997b25484786b6f14fc2e95a8945) | |||
토론 | **문수현 (한양대 사학과)** | ||
휴식시간 | |||
3:30~5:10 | 2부 | 공학에서 시작하는 디지털 인문학 교육 | |
사회 | 한남기 (UNIST 인문학부) | ||
3:30~4:15 | 발표4 | 안성진 (성균관대 컴퓨터교육과) | 인공지능시대, AI에 대한 걱정 |
토론 | 류수린 (가천대 자유전공학부) | ||
4:15~5:00 | 발표5 | 배병철 (홍익대 게임학부) |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 서사와 공학의 융합 사례 연구 |
토론 | 김형훈 (UNIST 인공지능대학원) | ||
휴식시간 | |||
5:10~6:00 | 3부 | 종합토론 | |
사회 | 김용수 (한림대 영어영문학과) | ||
토론 | **김용규 (부산대 영어영문학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