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 3월 18일 화요일, 오후 8시~10시 (권명아)
“젠더·어펙트 연구: 신체화된 권력과 신체화된 테크놀로지 비판 이론과 그 논점”
3젠더·어펙트 연구 방법론과 역사성 역사적 파시즘 연구에서 원격통제 권력 비판까지.pdf
2회: 4월 1일 화요일, 오후 8시~10시 (김미정)
“정동이라는 렌즈: 문학비평의 한 사례”
김미정(1) 소년은 왜 ‘꽃핀 쪽’으로 가라고 말하는가(움직이는 별자리들 2019)-복사.pdf
김미정(2) 페미니즘×커먼즈(작가들2023봄호).pdf
김미정(3) 움직이는 별자리들 중(마지막 인간+소년은 왜).pdf
김미정(4) 나를 쓰는 일은 어떻게 너를 쓰는 일이 되는가 (창작과비평 2025년 봄호)-복사.pdf
3회: 4월 15일 화요일, 오후 8시~10시 (권두현)
“생명정치와 정동 경제와 문화연구”
권두현, 「렌더링과 에뮬레이팅의 생명정치와 정동 지리 - ‘쿤타 킨테’에서 ‘빌 코스비’까지」, 『석당논총』
권두현, 「초국가적 몸짓산업과 ‘키네틱 애니매시’의 회절 - 농구 코트 안팎의 몸들과 몸짓의 정동지리」, 『대중서사연구』
권두현, 「유머와 보디빌딩 : 아시안 아메리칸 코미디의 정동 경제」, 『한국극예술연구』
[논문 없음. 발표에서 소개 예정]
4회: 5월 13일 화요일 오후 8시~10시 (송혜림)
“증언의 정동과 탈식민주의 연구”
주 텍스트
보조 텍스트
송혜림, 「법은 국가폭력에 대한 사법정의를 구현할 수 있는가: 제주 4·3 재심청구 2차 재판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201 (2022): 1-27.
법은 국가폭력에 대한 사법정의를 구현할 수 있는가.pdf
권명아, 「전쟁 상태적 신체와 슬픔의 공동체: 냉전 체제의 사회 병리적 현상에 대한 담론과 정념 공동체의 위상」. 『석당논총』, 56 (2013): 1-35.